2020. 2. 14. 03:48ㆍ컴퓨터
내가 일하는 분야는 기술의 적용이 굉장히 늦는 편이다. 무슨 전산화, 선진화 이런 연구 과업이 꽤 있었음에도 아직도 성과물을 종이로 인쇄하여 제출하고 전산파일을 추가로 제출한다. 이걸 전산화라고 해야 하는지 의문이다. 합동 사무실이란 제목으로 한 사무실에 다 몰아넣고 일 하는 경우가 많아 이런 환경에서 일하면 화상회의를 할 일이 없다.
종종 해외 프로젝트를 하게 되는데 이럴 땐 화상회의를 자주 한다. 이메일로 의사 소통을 할 경우 얼굴을 마주 보고 의사소통하는 것에 비해 정보의 정확한 전달이 힘들다. 서로 원하는 바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자료를 작성하다 보니 심하면 원하는 것과 전혀 다른 자료를 받기도 한다. 이럴 땐 음성 통화로 보조하기도 하지만, 화상 통화(회의)로 조금 더 정확한 정보의 전달이 가능하다. 화상 회의를 하기 위한 앱들은 화면 공유가 가능한 것이 많아 서로 같은 자료를 보면서 회의를 할 수 있다.
맥북에서는 사이드카라는 앱을 이용하여 아이패드를 연동하여 쓸 수 있다. 보조모니터로 사용할 수도 있고 아이패드에서 애플 펜슬로 작업할 수도 있다. 나도 맥북을 사용하고 싶지만 안타깝게도 내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는 맥에서 쓸 수 없다. 윈도우 컴퓨터를 쓸 수밖에 없는데 태블릿은 아이패드 프로를 사용하고 있다. 노트북은 사기 전에 이것저것 보며 무한루프를 돌며 고민하는데, 태블릿은 고민할 게 없다. 아이패드가 최고다.
자료를 미리 준비하여 화상 회의를 하더라도 간단하게 그려서 설명할 필요가 있을 때가 있다. 마우스로 그려서 해봤는데 안 되는 건 아니지만 잘 안 그려진다. 그래서 아이패드에서 그린 걸 화면 공유로 보여주며 설명을 했더니 도움이 많이 되었다. 윈도우에서 아이패드를 직접 연결하는 방법이 없으니 원노트라는 앱을 이용하였다. 원노트는 어디에서 사용하던 거의 실시간으로 내용을 공유할 수 있다. 내 경우에는 컴퓨터, 아이패드, 아이폰에서 사용하는 데 연동 속도가 거의 실시간이라고 봐도 될 정도다. 화상 회의할 때 화면 공유로 원노트 화면을 보여주면서 아이패드에서 그림을 그리거나 글자를 쓰면 거의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정확한 딜레이는 모르겠지만, 체감으론 1초 정도 차이로 볼 수 있다.
회의할 때 아이패드를 이용하여 원노트에 필기로 작성한 회의록을 윈도우에서 열면 그대로 공유가 된다. 물론 그대로 필기인식도 가능하지만 내가 워낙 악필이라 필기인식률이 매우 낮아서 필기 내용을 보며 타이핑하여 회의 때 나온 내용을 놓치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
화상회의는 스카이프, 기록은 원노트를 사용하고 자료 저장은 원드라이브를 이용하고 있다. 예전에는 원드라이브 속도가 느려서 답답했는데 최근에는 속도가 굉장히 빠르다. 클라우드를 이용하려 한다면 원드라이브를 추천한다.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스크톱 PC 조립하기(1) : 시작, 부품의 선택(1), CPU (0) | 2020.02.16 |
---|---|
노트북의 선택 : AMD 라이젠 4000 시리즈 APU(르누아르) 탑재 노트북을 기다리며 (0) | 2020.02.15 |
LG 그램17(gram17) 1년 사용기 (4) : 쓰로틀링이 문제인데 과연 쓸만한 노트북인가? (0) | 2020.02.13 |
LG 그램17(gram17) 1년 사용기 (3) : 쓰로틀링 얼마나 신경써야 되는가? (0) | 2020.02.12 |
LG 그램17(gram17) 1년 사용기 (2) : 확정성(썬더볼트3) (0) | 2020.02.11 |